본문으로 바로가기


일전에 중국으로 여행을 갔을때, 유튜브나 몇몇 사이트들을 접근하고 싶지만 

중국에서 막는 바람에 접속하지 못한 경험이 있다.

또 집에서 회사의 내부망에 있는 PC를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하는데 팀뷰어와 같은 SW가

막혀 작업하지 못한 경험도 있는데, 이런 상황을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바로 VPN이다.


여러가지 도구들을 제공하는 Iptime 답게 VPN또한 손쉽게 도구에서 설정이 가능한데, 

이를 사용하면 위와 같은 상황에서 자신이 설정한 VPN을 통해 접근 불가한 사이트를 접속하거나

외부에서 내부망을 연결하여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한다거나 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1. VPN이 뭘까?




위는 네이버 지식사전에서 VPN 검색시 나오는 내용인데,

즉 VPN이란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를 뜻하며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가 대외비 정보인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회사 내의 통신을 일반 인터넷과 구분된 내부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망에 사용되는 임대회선은 상당히 고가 이기에 일반 인터넷을 암호화를 통해 임대회선과 같은

기밀성을 제공하도록 해주는 솔루션 이란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목차에 있는 것들일터다.

- 해외여행을 가도 국내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있다.

- 집에서도 회사 내의 서버를 보안된 상태로 접근할 수 있다.


VPN을 연결할 경우 해당 기기의 연결된 네트워크정보를 내부망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정보로 바꿔주기에 

해외에서 국내 온라인게임에 접속을해도 인터넷 연결정보가 해외가 아닌 국내로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국내 온라인 게임에 접속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집에서도 회사의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하게 되니 내부망처럼 원격 접속이 가능해지게 된다.



2. Iptime에서의 설정



그렇다면 Iptime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다.

Iptime 설정 페이지는 기본적으로 공유기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192.168.0.1 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나오며

만약 이전글인 https://chans-note.tistory.com/53 에서 도메인 설정 및 원격 포트 설정을 완료 하였다면

외부에서도 자신이 설정한 도메인을 통해 접근이 가능할 것 이다.


설정 페이지에 로그인한뒤, 고급설정-특수기능-VPN 서버설정을 클릭한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동작모드를 실행, 필요에 따라 암호화 여부를 선택하고'

적용버튼을 누르도록 한다.


이후 하단의 VPN 접속 계정에 자신이 VPN접속시 사용할 ID와 밑에 암호를 입력해 준다.

그 뒤에 할당 될 IP 주소를 입력해주면 되는데 자신이 내부망에서 사용하는 IP중 남는 것을 입력해주면 된다.

잘 모르겠다면 고급설정-네트워크관리-내부네트워크 설정에 가면 현재 사용중인 IP가 나타나는데

1~255 사이 중에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그 이외의 숫자를 입력해 주도록한다.

(포트포워딩이나 별도로 내부의 고정으로 ip를 박아놓은 기기가 있는경우에는 그런 내용도 생각하고 입력하도록 한다.)

(위 화면은 iptime 공유기의 모델과 버전에 따라 다소 다르며 집에서 사용하는 NS3004-M의 모델의 경우 PPTP/L2TP를 선택할 수 있기도 하다)



입력을 마치고 추가를 누르면, VPN접속 계정 관리의 리스트에 방금 추가한 계정이 추가되게 되며

추가된 것을 확인했다면 저장 버튼을 눌러 설정을 마무리하도록 한다.


3. windows10에서 설정한 VPN 연결하기



이제 설정한 VPN을 접속해 보겠다.

현재 설정했던 공유기에 연결하지 않고 다른 망을 사용하는 PC로 현재 외부IP를 확인한경우

끝자리가 105번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VPN에 정상적으로 연결하면 해당 IP정보가 바뀌게 될 것이다.


먼저 windows10 기준 시작버튼을 누르고 톱니바퀴 모향의 설정버튼을 눌러 windows 설정창을 열고

메뉴 중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클릭하여 준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창이 나오면 좌측의 메뉴중 VPN을 클릭하여 해당 메뉴를 열고

VPN 연결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준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vpn공급자는 windows(기본 제공) 으로

연결이름은 자신의 컴퓨터에서 해당 VPN이 나타날 이름을 넣어주고

서버 이름 또는 주소는 iptime에서 설정한 DDNS 정보를 넣어준다.

(설정하지 않은 경우  https://chans-note.tistory.com/53 참고하여 설정)

VPN종류는 자신이 열어둔 VPN종류를 선택하면 되는데 아까 위의 설정과 같이 

별다른 동작 모드가 없었다면 PPTP를 선택하도록 하자.

로그인 정보 입력은 사용자 이름 및 암호로,

사용자 이름과 암호는 아까 설정한 VPN 접속 정보의 계정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저장을 눌러준다.



입력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입력한 이름의 VPN이 나타나게 된다.

그럼 다음으로 관련설정의 어댑터 옵션 변경을 클릭한다.


나오는 화면에서 추가한 VPN을 선택한 후 우클릭 - 속성을 열어준다.


나오는 속성 창에서 보안탭을 클릭하고, 데이터 암호화, 인증방법, Microsoft CHAP Version2 의 여부 들을

위의 이미지와 같이 설정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그뒤에 인터넷 연결창에서 추가 된 VPN을 선택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한다.



연결을 클릭하여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원래 연결되어있던 IP 끝자리 105에서 

VPN을 설정한 공유기가 사용하던 IP주소인 200으로 변경되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200번의 IP를 사용하는 내부망 다른 컴퓨터에 원격 연결이 가능하다.)


4. 휴대폰에서 설정한 VPN 연결하기(갤럭시)



휴대폰을 이용시에도 VPN설정이 가능한데, 본인이 사용한 휴대폰은 갤럭시s7 갤럭시 시리즈의 경우 

설정법이 거의 같은 것으로 알고있고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휴대폰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먼저 휴대폰의 설정창을 열고 연결 메뉴를 눌러준다.


연결화면에서 기타 연결 설정을 눌러준다.


기타 연결 설정에서 VPN항목을 눌러준다.



나온 VPN설정 화면에서 VPN 추가 버튼을 눌러준다.

그러면 VPN 네트워크 편집이 나오는데, 윈도우와 같이 안에 내용을 채워주면 된다.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임의의 이름을 넣고, IpTime에서 설정한 VPN 내용인 

종류와 암호화여부, 사용자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저장을 누른다.

저장이 완료되면 VPN목록에 설정한 이름의 VPN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연결하기에 앞서 VPN연결전 IP를 확인해보면 끝번호가 73이며 만약 정상적으로 VPN연결이 된다면

해당 IP가 바뀌게 될 것이다.


설정한 VPN을 누르고 연결하면 신호를 주고받다가 연결됨이라는 상태값으로 변경된다.

(휴대폰 상단에 열쇠모양도 노출되게 된다.)


정상적으로 연결한 뒤 다시 IP주소를 확인하면 설정한 IpTime의 IP주소였던

끝자리 200번의 IP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