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사용하고 설정을 이것저것 다루다보면 IP라는 단어가 자주나온다.
IP라는건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는 번호로 유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쉽게 설명을 해보자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있는 공유기나 PC등의 기기에 연결을 하고자할때 IP를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숫자로 이루어진 IP의 경우 일일히 기억하며 사용하기 쉽지 않기에
좀더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www.daum.com 과 같은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도메인이 주소로 입력되면 도메인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에 해당되는 IP를 찾고
등록된 기기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중인 공유기나 PC도 외부에서 연결을 할수 있다는 것이되는데,
사실상 그러기 쉽지않은 것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의 IP는 공유기의 전원을 내린다던가
하는 행위로 쉽게 변경되기도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인IP라는 고정IP를 인터넷 회사에서
구매할 수는 있으나 매달 사용료가 일정 금액 들어가기에 쉽지가 않다.
하지만 iptime의 DDNS 기능을 이용하면 굳이 매달 사용료를 내면서 공인IP를 구매하거나
따로 도메인 서버에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거나 하는 번거로운 일을 줄일 수 있으며
그 방법이 그렇게 어렵지 않기에 작성 하고자 한다.
1. 공유기 설정 페이지 접근
iptime 공유기를 사용할 경우 해당 공유기에 연결된 PC의 인터넷 창을 열고
주소에 내부망 ip주소인 192.168.0.1 을 입력하면 간단한 UI의 로그인 창이 나타난다.
따로 계정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admin/admin일 것이고,
만약 아이디 혹은 비밀번호를 잊었을 경우 공유기에 존재하는 reset버튼을 통해
초기화 할수있으며 초기화시 아이디 비밀번호 또한 admin/admin이다.
(로그인 이후 가능하면 고급설정-시스템관리-관리자설정에서 ID와 PW를 설정해주도록 하자)
이후 나오는 화면에서 관리도구를 클릭.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우선 외부에서도 공유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좌측 메뉴의
고급설정-보안기능-공유기 접속/보안관리 메뉴를 클릭한다.
그리고 설정화면에서 외부 접속 보안의 원격 관리 포트 사용을 체크하고
자신이 원하는 포트 번호를 원격 관리 포트의 텍스트 창에 입력해준다.
(이는 DDNS설정이 완료되었을때 도메인 이후 해당 포트번호를 입력하여 공유기 설정 화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2. DDNS 설정
이제는 해당 관리화면에서 DDNS를 설정하도록 해본다.
다시 화면에서 고급설정-특수기능-DDNS설정 메뉴를 클릭한다.
그럼 우측에 서비스 공급자 ipTIME DDNS가 입력되어있는 필드와
하단에 호스트 이름,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창이 나오는데
호스트 이름에는 자신이 사용할 도메인 네임을 넣어주도록하고
사용자 ID에는 본인 가지고 있는 이메일 주소중 하나를 넣어주고 등록버튼을 클릭한다.
(하나의 이메일당 하나의 DDNS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클릭하면 호스트 이름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 위의 이미지와 같이
정상 등록이라는 접속상태가 나오게 되고 입력했던 사용자 ID(이메일)과
현재 공유기가 사용중인 IP 정보가 나오게 되며, 이렇게 화면이 보여질경우
정상적으로 DDNS 설정이 완료된 것이다.
제대로 연결이 되는지 해당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휴대폰이나 PC를 이용하여
설정했던 DDNS와 포트번호를 (DDNS이름).iptime.org:(설정한포트번호) 의 형식으로
주소창에 넣어주면 공유기에 연결되어있지않은 상황에서도 공유기의 설정 화면이
로딩되는 것을 확인 할 수있다.
이렇게 설정된 DDNS와 그외에 iptime에서 제공하는 VPN설정이나 포트포워딩, WOL(Wake On Lan)에
대해서 설정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공유기에 연결된 PC나 해당 내부망을 연결 및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